내 고향은 이북의 돌산입니다. 황해도 은률군 서부면입니다. 사홍선 동네라고 했습니다. 구월산 밑에 있습니다. 나는 일제강점기에 태어났습니다.
내가 살아온 이야기를 하라 하니, 일제 때 이야기부터 해야겠습니다. 열 일고여덟 젊은 시절에 영장이 나왔습니다. 그때는 일본이 큰 전쟁을 할 때라 젊은 사람들에게 모두 영장이 나왔습니다. 근로정신대라고 전쟁터에 일을 하러 가야 하는데 알고 보니 그게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위안부라는 소문이 돌았습니다. 여자들을 데려다가 몹쓸 짓을 한다고요. 끌려가면 죽을지 살지 알 수 없는 일이니 무조건 피해야 했습니다. 빨리 결혼을 하면 안 끌려갈 수 있다들 했습니다. 동네마다 혼처를 찾느라 난리였습니다. 우리 아버지도 아무데나 그저 빈 자리가 있으면 무조건 보내야 한다고 성화였습니다. 부모님이 나를 성급하게 결혼시켰어요.
시집은 피목촌이라는 동네였습니다. 시댁은 그 일대에서 아주 잘 사는 집이었습니다. 그때는 100칸짜리 집을 지으면 거만하다 해서 아흔아홉 칸을 짓고 살지 않았습니까? 시댁이 그런 집이었어요. 그런데 가보니 신랑이, 몸의 반을 못 쓰는 사람이었습니다. 돈 많은 집이니 전답은 다 소작을 주고 나는 할 일이 없었어요. 농사도 안 짓고 할 일도 없었어요. 밥 해주는 사람, 빨래 해주는 사람 다 있었어요.
가서 보니 남편은 몸이 그렇지만 돈은 어마어마하게 많아서 그리운 것도 없고 아쉬운 것도 없었습니다. 시부모님은 당시만 해도 아들이 장가를 못 들 것이라 생각했는데 내가 들어오니 나름대로 흡족하셨던 모양입니다. 나는 이것도 내 정해진 운명이라 생각하고 정붙이고 살며 아이도 낳았습니다.
남편은 몸이 불편했으나 풍족했던 시댁
해방되니 모두 일꾼들의 것이 되고 무일푼 신세
일제 강점기가 지나니 시대가 바뀌더군요. 그 많던 전답이 모두 일하던 일꾼들의 것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무일푼이나 다름없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곧 전쟁이 터졌습니다. 인민군들이 들어와 집을 자기들 사무실처럼 썼어요. 우리를 알몸으로 내쫓아버렸습니다. 거처가 마땅치 않고 나는 젊으니 시댁 어른들이 친정에라도 가 있으라고 했습니다. 애들 둘을 끌고 돌아다니려니 길이 막막했습니다.
우리 엄마는 날 낳고 돌아가셨고 우리 형제들에겐 계모가 있었습니다. 친정을 가도 안 반가워하겠지만 일단 언니를 찾아가봤습니다. 동네가 홀라당 비어 있었습니다. 폭격 맞아 죽었는지 어쨌는지 집은 빈집이 되었고 식구들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빈집에 몸을 쓰지 못하는 남편과 애들 둘을 데리고 앉아 있는데 계속 비행기는 와글와글 돌아다니고 총소리 나고 폭격이 이어지고 살 수가 없었습니다. 언니가 없는 집에 멍하니 앉아 있었습니다.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디다. 그저 시간이 가길 기다린 건지, 누가 오길 기다린 건지 모르겠습니다.

ⓒ자료사진
아군과 인민군이 밤마다 싸우고 사람들은 징집을 당하지 않으려고 도망가다가 잡히기도 했습니다. 해가 지나고 봄이 되었습니다. 언니도 돌아오고 친정에서 그럭저럭 전쟁을 피하며 버티고 있었습니다. 시어머니가 시누이를 데리고 우리 친정으로 왔습니다. 시댁이 있는 동네는 더 이상 살 수가 없게 되었다고만 했습니다. 어느 날 시아버지가 동리까지 왔습니다. 아버님은 시어머니와 시누이를 확인하더니 여러 말 할 거 없고 어서 길을 떠나자고 했습니다. ‘이래도 고생하고 저래도 고생하니 가다 죽더라도 가자’고 하셔서 다 같이 피난길을 나섰습니다. 한참을 가다 보니 섬으로 갈 수 있다고 했습니다.
친정 오빠가 신천에 살았는데 피란길이 멀어 그 집에 들렀습니다. 사람은 하나도 없는데 헛간에 들어가 보니 쌀이 좀 있어서 속곳 바지에 쌀을 싸고 남은 옷가지에 마구잡이로 쌌습니다. 식구들이 다 이고 지고 걷기 시작했습니다. 시아버지가 이불 보따리를 이고 시어머니는 우리 애들이랑 시누를 데리고 바닷가로 갔습니다. 솥단지 밥단지 숟가락은 어찌 가져가요 물어보니 아버지가 네가 쌀만 맡아라 해서 나는 쌀만 지고 시어머니는 요만한 솥단지하고 수저만 들고 애들 건사하며 갔어요.
바닷가에 도착하니 피난민들이 바글바글했어요. 그때는 기계로 가는 배가 없고 풍선(風船)이 20여척 서 있는데 선착장에 가득가득 짐이 실려 있었습니다. “이 배가 어디로 가나요?” 물으니 전부 다 이남으로 갈 거라고 했습니다. 물이 들어오면 배가 나갈 건데 파도가 잔잔하면 모두 다 순탄하게 갈 수 있다고 했습니다. 피난민들이 모두 그 배를 타고 가려고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그 동네는 산이 옴폭하고 그 산 아래에 바다를 바라보는 집들이 쭉 서 있었어요. 집들은 전부 다 비어 있었습니다. 배를 타려고 기다리는데 총소리가 나고 갑자기 난리가 났습니다. 시아버지가 ‘물이 들어오면 섬으로 건너가야 한다. 애들하고 니 엄마하고 어떻게든 갈 테니 쌀 이고 먼저 가라’고 하셨어요. 여기저기서 막 쏴대니 배가 못 들어오는 겁니다. 바다에 있는 작은 섬으로 가야 해요. 물이 막 들어차기 시작해서 금방 배가 올 거 같았어요. 어디서 누가 총을 쏘고 난리가 났어요. 어디서 누가 쏘는지 모릅니다.
여기저기서 총소리가 나고 사람들도 막 쓰러지는 거 같은데 나는 쌀자루 이고 차오르는 물을 따라 나가는데 물이 점점 차올라요. 머리에 이고 있던 쌀자루도 너무 무겁고 도저히 더 갈 수가 없었어요. 갯바위 위에 쌀을 내려놓고 사람 오기를 기다리는데, 사람들이 와야 말이죠.
그 많던 사람들이 다 어디로 갔는지 아무도 안 오는 거예요. 거기 있는 사람들이 다 죽을 판이라.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을 판이라.
바위에 앉아 한참을 기다리는데 물이 다시 쭉 빠져서 쌀을 끌고 다시 육지로 가려고. 중간에 작은 섬에 사람들 몇 명이 바글바글 모여 있더라고요. 거길 들어가서는 식구를 잃어버렸다 얘기를 하니 쌀은 어따 뒀냐 물어서 나도 모르겠다, 하고 주저앉아 버렸습니다.
젖 먹이던 아이가 있어서 젖은 불어오는데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물 들어오면 식구들이 오려나 내내 기다리는데 저 멀리 서 있는 배가 활활 불에 타고. 쌀이고 뭐고 다 실어놨는데 다 불타버렸어요. 이제 다 죽었구나 싶었습니다.
전쟁이 나고 친정 언니 집을 거쳐 피난길에 들린 신천 오빠집
바닷가 총격에 온 가족을 잃고 홀로 남으로
질긴 목숨, 그래도 살아지더이다
사람 목숨이 참 질기다고. 그때 죽을 것 같았는데 안 죽어집디다. 기다려도 아무도 안 오는데. 새끼 둘 다 내버렸지, 시아버지 시어머니 다 어디 갔는지 모르지. 남편도 모르고. 아무도 안 오고. 그렇게 바닷물에 들어갔다가 나왔다가 하는데 아무도 안 오고. 그날부터 내가 혼자가 되었습니다.

2년 전, 서울에서 만난 김 모 노인은 노인자서전 쓰기 수업을 하러 온 강사라 하니 내 손을 잡고 앉아 보라더니 이 이야기를 쉬지 않고 한 번에 쏟아냈다. 그해 그 해변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미군 배를 타고 백령도에 당도했다. 백령도에서 다시 배를 갈아타라기에 그대로 따랐다. 군산에 도착하자 트럭이 여러 대 왔다. 피난민들이 살 곳으로 데려다준다는 말을 듣고 트럭에 올랐다. 트럭은 부안에서 사람들을 내려놓고 떠났다. 자식 둘과 가족을 모두 잃고 혼자 부안에 내린 젊었던 김 노인에게 누군가 방을 한 칸 내주었다. 김 노인은 거기서 혼자가 되었다. 피난민들에게 준다며 어디선가 된장과 고추장을 걷어다 주었다. 남의 집 살이를 하며 끼니를 때웠고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았다. 아이의 아버지는 고향에 따로 부인이 있었고 결국 고향의 부인에게도 돌아갔다. 김 노인은 호적을 만들지 못한 딸 하나 아들 하나를 데리고 서울로 올라왔다. 김 노인은 그 이후의 이야기는 아주 짧게 얘기했다.
서부역 뒤 기찻길에 앉아 있으면 서울역으로 들어가는 기차에서 배추 겉잎을 밖으로 던져버렸다. 버린 배춧잎들을 모아 바구니에 담아 머리에 이고 식당에 가서 팔면 잘 받아주었다. 방 하나 얻고 연탄 몇 장 사서 겨울을 견디고, 배춧잎을 주워 팔다가 배추를 받아 팔게 되니 형편이 좋아졌다고 했다. 그 사이 아이 둘은 ‘알아서’ 크고, 김 노인은 ‘세월이 좋아’ 수급자가 되었다. 김 노인은 좋은 세상이 되었다고 흡족해했다. 사는 게 쉽지 않고 고생도 많이 해서 더 살고 싶은 욕심은 없지만 ‘나라에서 살라고 해주니’ 가는 날까지 감사하며 살겠다고 했다.
김노인이 말한 피난길의 이야기는 한국전쟁사에 남아있는 황해도 신천 사건으로 추정한다. 김노인에게 그 사건은 모든 것을 잃고 혼자 낯선 곳에서 살아가야 했던 일생의 큰 사건일 뿐, 어떤 이유였는지는 중요하지 않았다. 그가 아무것도 평가하지 않는 것을 들으며 전쟁이란 그런 것이겠다고 짐작했다. 아흔 살을 바라보는 나이에 작은 임대아파트를 얻게 되어 나라가 고맙다는 그의 말을 들으며 어떤 감정도 쉽게 표현할 수 없었다. 그저 고개를 끄덕이는 것 말고는,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그의 앞에서는.

이하나 집필노동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