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보기
댓글보기
“방배동 모자 사건, 부양의무제가 범인이다”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과 장애인과가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18일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18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과 장애인과가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18일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18ⓒ김철수 기자

장애인 가족, 한부모가족, 재개발지역 세입자, 건강보험료 체납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방배동 모자의 고단했던 삶을 짐작할 수 있는 여러 장면이 있지만, 결국 엄마 김 씨를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은 부양의무자 기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3일 사망한 지 반년 만에 발견된 60대 김 씨는 부양의무자 기준 때문에 생계·의료급여를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전국장애인부모연대·전국한부모연합 등은 18일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양의무자 기준조차 폐지하지 못하는 국가에서 또다시 사람이 죽었다. 이들의 죽음 앞에 정부와 국회, 지자체 모두가 공범”이라고 목소리 높였다.

김 씨의 죽음은 인근 지하철역에서 노숙하던 그의 아들인 발달장애인 30대 최 씨를 발견한 사회복지사에 의해 알려졌다. 김 씨 모자의 수입은 2018년 10월부터 받은 기초생활보장제도 주거급여 20여만 원이 전부였다. 간헐적으로 이어온 공공일자리마저 끊겼지만, 부양의무자인 딸과 이혼한 전 남편에게 상황이 전해지는 것을 꺼려 생활·의료급여를 신청하지 않았다. 이에 2005년 뇌출혈 수술을 받은 김 씨는 2008년부터 건강보험료를 내지 못하며 장기체납자가 돼 병원을 이용할 수 없었다.

이들은 “부양의무제 폐지는 대통령의 공약이지만 임기 4년 동안 지켜지지 않았다”라며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은 2018년 10월 폐지됐지만, 생계급여에선 2022년까지 부양의무자의 소득·재산 기준을 완화하겠다는 계획에 불과하며, 의료급여는 아무런 계획조차 수립하지 않았다”라고 비판했다.

김 씨의 죽음은 지난해 발생한 인천 일가족의 죽음과 맞닿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주거급여는 받지만, 생계·의료급여를 받지 못하는 이들이 복지 사각지대에 내몰려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는 취지다.

이들은 “복지부는 인천 일가족이 주거급여 수급자였기 때문에 사각지대로 발굴되지 않았다고 했다. 방배동 김 씨 또한 주거급여만 수급한 기초생활보장 대상자였다. 소득이 끊기고, 건강보험료가 10년이 넘도록 체납된 모자가 주거급여만 수급한 이유는 부양의무자 기준 때문”이라며 “인천 일가족 죽음 이후 1년이 넘었음에도 여전히 같은 처지에 있는 이들이 죽음의 문턱에서 곡예를 하듯 삶을 이어나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과 장애인과가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18일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18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과 장애인과가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18일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18ⓒ김철수 기자

건강보험료를 장기간 체납한 빈곤층은 의료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다. 양영실 건강세상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이번 건강보험공단 국정감사에서 6개월 이상 체납자 113만 명 중 70%인 80만 세대가 생계형 체납이라고 했다. 건강보험료를 체납한 경우 공단은 분할 납부만을 말하며 의료이용을 제한하고 압류 통보한다”라고 말했다.

양 사무국장은 “김 씨가 정기적으로 진료받을 수 있는 환경만 수반됐어도 생명을 연장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생계형 체납자에 대한 징벌제도를 전면 폐지해야 한다. 연체금이 부과되는데 보험급여 제한 등은 중복적인 제재로 과도하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통해 의료급여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김 씨처럼 건강보험료 체납으로 의료서비스를 아예 이용할 수 없는 이들에겐 소용없다고 반박했다.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은 김 씨의 자리에 자신이 있는 듯한 아픔을 느꼈다고 김종옥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장은 말했다.

그는 “나의 무참한 주검 옆에 황망히 앉아 어찌할 바 모르는 나의 아들을 보았다. 누가 나의 아들을 거리로 내몰았는가. 사랑하는 자녀를 살리기 위해 부모가 기를 쓰고 살아야 하는 현실이다. 내가 죽으면 내 아이는 국가가 살려야 한다. 2018년 발달장애인 국가책임제 도입을 위해 208명의 부모가 자녀 앞에서 삭발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눈물을 흘리며 대책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지켜지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오진방 한국한부모연합 사무국장은 “수급 신청할 땐 연락도 안 되는 남편을 물으면서, 정작 생계형 사고가 발생하면 남편의 책임은 묻지도 않더라”라며 “빈곤 사각지대에 놓인 한부모 여성들은 정보 사각지대에도 놓여있다. 발달장애인을 키우는 60대 여성에게 신청주의 복지에 대한 접근은 어려웠을 것이다.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예산은 어디에 쓰이나”라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부촌으로 알려진 방배동에서 재개발지역 빈곤 주민들이 지워졌다고 유검우 노동도시연대 대표는 꼬집었다. 김 씨 모자가 살던 방배3동은 10년 가까이 재건축 예정지역이다. 유 대표는 “2019년 서초구 국민기초생활 수급자는 4천여 명이다. 빈곤은 어디에나 있다”라며 “서초구는 재건축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사이트까지 만들면서 빈곤한 세입자에겐 아주 무관심하다”라고 꼬집었다.

이형숙 장애인과가난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대표는 “참담한 비극이 왜 일어났고 해답이 무엇인지 모두가 알고 있다.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가 가난한 이들에게 백신”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후보 시절 약속했던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실천하라고 촉구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청와대와 복지부에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촉구를 담은 공개 질의서를 전달했다.

강석영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이시각 주요기사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2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