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식품 안전과 관련한 부적절한 발언을 해 논란에 올랐다. 그러자 이와 관련해 2일 캠프 측에서 해명을 내놨는데, 이 역시도 이치에 맞지 않아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앞서 윤 전 총장은 지난달 19일 공개된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부친인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가 추천해 준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의 저서 <선택할 자유>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 책에서 얻은 교훈을 검사로 활동할 때 많이 적용했다는 취지로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저희 부친은) 너무 한쪽으로 편중되지 말라고 책을 권해주신 거고, 제가 거기 굉장히 감명 많이 받았다"라며, "제 기억에는 2006년 중수부 연구관 할 때까지 검사 되고 나서 그 책을 계속 갖고 다녔다"고 밝혔다.
이어 "왜 그랬냐면 상부에서 '뭐 이런 거 단속해라, 저런 거 단속해라'는 단속 지시가 대검 각 부서를 통해 일선 청으로 막 내려오는데 프리드만 책 보면 거기 다 나온다. 이런 거 단속하면 안 된다(라고 말이다)"라고 설명했다.
윤 전 총장의 식품 안전성과 관련한 부적절한 발언, 이른바 '부정식품' 발언은 이 대목에서 나온다. 그는 국가의 단속, 규제가 소비자의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다.
윤 전 총장은 "왜냐면 단속이라는 건 퀄리티를 기준을 딱 잘라줘가지고 이거보다 떨어지면 형사적으로 단속하라는건데, 프리드먼은 그거보다 더 아래도 먹으면 사람이 병 걸리고 죽는 거면 몰라도, 부정식품이라도 없는 사람이 그 아래도 선택할 수 있게 싸게 먹을 수 있게 해줘야 된다는 거"라고 설명한다.
이어 "예를 들어 햄버거 50전짜리도 먹을 수 있어야하는데, 50전짜리 팔면서 위생이나 이런 퀄리티를 5불짜리로 맞춰놓으면 그거는 소비자들에 선택 자유 제한하는 것"이라면서, 자신은 식품 안전 단속과 관련해 "'가벌성이 높지도 않고 안 하는게 맞습니다"라고 상부에 말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1일 여권에서 비판이 이어졌다.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는 SNS에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이 불량식품을 '4대 사회악'이라고 규정했던 점을 언급하며 "박근혜만도 못하다"고 꼬집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SNS에 "잘 나가던 검찰이었던 저 사람 눈에 국민은 개돼지로 보이나 보다"라고 탄식했다.
그러자 2일 아침 윤석열 캠프 측에서는 해당 발언이 "와전이 된 것 같다"며 해명에 나섰다.
윤석열 캠프에서 정무 총괄 역을 맡고 있는 신지호 전 새누리당 의원은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부정 식품' 발언과 관련한 질문을 받자 "그런 식의 해석은 와전된 것"이라며 "그거(그 발언)를 가지고 경제적으로 좀 빈궁한 사람은 불량식품을 먹어도 된다 이런 식으로 해석하는게 와전이고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신 전 의원은 윤 전 총장의 발언이 "경제적으로 힘든 분들이 그런 불량식품을 먹어도 된다 그런 취지가 아니다"라며, "그런 제품이라도 받아서 나름대로 끼니를 해결하는 것이 불가피한 현실 아니냐 그런 것을 지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리고는 사례로 '푸드 뱅크'를 들었다. 그는 "유통기한이 좀 간당간당한 그런 식품들, 신선 식품들이 있다. 그 경우에 예를 들어서 식당, 제과점, 편의점 운영하는 분들 중에서 유통기한 임박한 것들을 경제적으로 곤궁한 분들께 갖다드리는 이런 봉사활동도 많이 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이미 아주 보편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신 전 의원의 해명은 논리에 맞지 않다. '푸드 뱅크'에 기부된 식품들은 정부의 식품 안전 규제를 통과해 합법적, 정상적으로 시장에 유통된 상품이다. 다만 유통기한이 임박하거나, 조리된 식품이기에 당일 소비가 바람직할 경우 시민들이 선의에 따라 기부하는 것이다. 이는 식품 안전 규제 기준을 낮춰 질이 낮은 식품이라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값싸게 시장에 공급하는 게 소비자를 위해 낫다는 윤 전 총장의 발언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다.
민중의소리를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주세요.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정기후원은 모든 기자들에게 전달되고, 기자후원은 해당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