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전두환 옹호 발언'에 대해 '늑장 사과'를 한 뒤, 윤석열 캠프가 개에게 사과를 주는 사진을 SNS에 게시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윤 전 총장이 마지못해 내놓은 사과마저 진정성 없는 게 아니냐는 비판 여론이 확산하는 중이다.
윤 전 총장은 21일 자신의 발언에 대한 잘못을 시인하고 "송구하다"는 입장을 밝힌 뒤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사과' 사진을 잇따라 게시했다.
해당 계정에는 윤 전 총장이 유감 표명을 하기 전에도 그가 돌잔치 때 사과를 잡고 있는 사진과 함께 "석열이 형은 지금도 과일 중에 사과를 가장 좋아한답니다"라는 글이 올라와, 윤 전 총장이 자신을 향한 사과 요구를 조롱한다는 지적이 빗발친 바 있다.
심지어 이후엔 윤 전 총장의 반려견 토리의 사진을 게시하는 인스타그램 계정에도 토리에게 사과를 주는 사진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물에는 사진과 함께 "토리야! 인도 사과다!", "톨이(토리)는 아빠 닮아서 인도 사과 좋아해요"라는 글도 첨부돼 있다. 논란이 된 두 계정의 사과 사진은 현재 모두 삭제된 상태다.
윤 전 총장의 비상식적인 대응에 국민의힘에서도 아연실색하는 모습이다.
이준석 대표는 같은 날 페이스북에 "아침에 일어나 보니 뭐 이런 상식을 초월하는…착잡하다"는 심경을 밝혔다. 구체적인 사안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윤 전 총장의 사과 사진 논란에 대한 입장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 내 경쟁 주자들은 이번 논란을 단순히 실무자 책임으로 넘겨서는 안 된다며 윤 전 총장이 대선 후보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유승민 캠프 권성주 대변인은 22일 "사과는 개나 주라는 윤석열 후보, 국민 조롱을 멈춰라"라고 경고했다. 권 대변인은 "자신의 망언에 대한 사과 요청에 과일 '사과' 사진을 SNS에 올려 국민을 조롱하더니, 끝내 겨우 '송구'하다 말한 그날 심야엔 개에게 사과를 주는 사진을 추가로 올렸다"며 "누가 봐도 사진의 의미와 의도는 명확했다. '사과'는 개나 주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권 대변인은 "가족이든 직원이든 그 누가 하고 있든 SNS 담당자 문책으로 끝낼 일이 아니다"라며 "앞에서 억지 사과하고 뒤로 조롱하는 기괴한 후보에게 대한민국 대통령 자격 절대 없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캠프 신보라 수석대변인도 "사과마저 희화화하는 윤석열 후보 캠프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지적했다.
신 수석대변인은 "SNS 담당자의 실수라 치부할 수 없다"며 "몇 번에 걸쳐 말을 바꿔가며 해명에 급급해하다 국민께 사과를 한 게 그리도 찝찝했던 것인가. 사과를 개에 건네는 사진이 걸린 시간 동안 국민이 느꼈을 깊을 절망감을 생각해보라"고 꼬집었다.
홍준표 캠프의 여명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분노한 국민의 빗발치는 사과 요구에 결국 '송구하다'며 입장을 밝힌 윤 후보는 새벽 사이 인스타그램에 자신이 키우는 개에게 사과를 주는 사진을 게재하며 가뜩이나 엎드려 절 받은 국민의 뒤통수를 쳤다"며 "이것이 '사과는 개나 줘'가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라고 질타했다.
윤 전 총장 측은 '유머'라며 뻔뻔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윤석열 캠프의 종합지원본부장을 맡고 있는 권성동 의원은 같은 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을 받자 "그 부분은 저도 밤새 일어난 일이어서 잘 모르겠다"면서도 "개인의 인스타그램이란 게 너무 무겁고 딱딱하면 재미가 없지 않나"라고 두둔했다.
권 의원은 "공식 입장은 본인의 페이스북과 어제 기자회견에서 한 유감 표명이 공식 입장이라고 보면 되고, 인스타그램은 그냥 약간 재미를 가미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라며 "너무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강변했다.
민중의소리를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주세요.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정기후원은 모든 기자들에게 전달되고, 기자후원은 해당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