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 소설처럼 재구성된 국제결제은행(BIS)의 역사 ‘바젤탑’

바젤탑 | 아담 레보어 지음, 임수강 옮김 | 더늠 | 2만6000원 ⓒ도서출판 더늠


우리의 출판문화에서 경제를 이야기(story 혹은 history)로 다루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정치와 문화는 흥미로운 이야깃거리이지만 경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걸까? 하지만 이야기나 역사는 어떤 주제를 이해하는 데서 가장 빠르고 정확한 길을 제공한다. 이를테면 새로나온 책 '바젤탑(아담 레보어 지음, 임수강 옮김, 더늠)'은 국제결제은행(BIS)를 이해하는 빠르고 정확하며 심지어 흥미로운 방법이다.

BIS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승전국들이 패전국 독일로부터 배상금을 받아 나눠갖기 위해 설립된 최초의 국제금융기구다. 거의 1백년이 지난 지금, 당연히 그와 같은 업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BIS는 은근슬쩍 "중앙은행 간 정책협력"이라는 역할을 맡으면서 지금까지 유지되어 왔다.

이를테면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우리 국민들은 'BIS 자기자본비율'이라는 단어를 통해 BIS를 만났다. BIS 자기자본비율 8%를 맞추지 못한 은행들은 망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이 비율을 맞추기 위해 은행들은 대출을 중단하고 무려 29%까지 금리를 올렸고, 그래도 이를 맞추지 못한 은행들은 다른 은행과 합쳐졌다. 왜 8%인지, BIS가 무엇인지, 그것이 UN이나 WTO, IMF와 같은 국제적 합의 절차를 거쳐 정당성을 갖춘 기관인지에 대해 우리는 묻지 않았다. 그것은 자기 스스로 존재했다.

'바젤탑'은 이처럼 '독립'적인 금융기구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추적한다. 영국의 저널리스트인 아담 레보어는 이 이야기를 통해 '초국적 금융계급', 그러니까 금융자본과 이해를 같이하는 엘리트들이 BIS를 통해 각국의 금융정책을 조율해왔다고 설명한다. 늘 혼란스러운 정치와는 거리를 둔 전문가들이 '조용하게' 의견을 주고받으며 금융계급의 이해를 수호하는 은행시스템을 다듬어왔다는 것이다.

2차 세계대전과 냉전, 탈냉전이라는 어마어마한 세계사적 격동에도 BIS가 제자리를 지켜온 걸 보면 과연 대단한 솜씨다. BIS는 나찌에 협력했지만 나찌가 몰락하자 미국 달러에 충성을 바쳤다.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유럽의 단일통화(유로)를 창설하는 데에서도 상당한 기여를 했다. 책에서는 다뤄지지 않지만(이 책은 2013년에 출간됐다) BIS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엔 각국 중앙은행의 '돈 풀기'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고해왔다. 크루그먼이 지적한 것처럼 "금융자본가들은 일자리보다 채권의 가치를 유지하는 데 관심을 둔다"고 할 때, 그 선봉에는 늘 BIS가 있었다.

저자는 BIS의 비밀주의를 타파해 이 기구에 최소한의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듯하다. '바젤탑'이라는 제목이 BIS가 위치한 스위스 바젤과 창세기에 신의 분노로 무너진 바벨탑을 연결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물론 이 책을 읽고나서도 그것이 꼭 필요한 일인지, 혹은 그것으로 충분한지 같은 어려운 질문들에 단호하게 대답하긴 어렵다. 다만 구름 위로 솟아오른 바벨탑의 꼭대기에 무슨 일이 벌어져왔는지를 훔쳐보는 건 그 자체로 매우 재미있는 일일 것이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