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소득 양극화 심화에도 ‘강 건너 불구경’하는 윤석열 정부

상위 0.1%와 하위 20%의 1인당 종합소득 차이가 1400배에 이를 정도로 소득 양극화가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아 지난 21일 공개한 ‘2017~2021년도 종합소득 천분위 현황’에 따르면 상위 0.1%(9399명)는 31조 1285억 원의 종합소득을 기록했지만, 하위 20%(186만 7893명)는 4조 4505억 원의 종합소득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런 소득 불균형은 해마다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종합소득 상위 0.1% 구간 소득자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9.6%에서 2021년 10.4%로 늘어났다. 세계불평등연구소가 지난해 발간한 ‘세계 불평등 보고서 2022’에 따르면 한국은 소득과 부의 격차가 지속적으로 커지면서 지난 2021년 기준 상위 10%가 전체 소득의 46.5%를 차지했지만, 하위 50%는 전체 소득의 16%에 그쳤다. 자산은 상위 1%가 전체의 25.4%, 상위 10%는 58.5%를 차지했지만, 하위 50%는 5.6%를 기록해 더욱 심각했다.

이렇게 소득과 부의 양극화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윤석열 정부는 집권 이후 철 지난 ‘낙수효과’를 주장하며 부자들과 재벌 대기업을 위한 ‘부자 감세’에만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각종 세법 개정안을 보면 이런 윤석열 정부의 의지가 잘 담겨 있다. 법인세는 과세표준 구간별로 1% 포인트씩 세율이 인하됐다. 주택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종부세의 기본공제액을 높였고, 2주택자는 중과세 대상에서 제외했으며 3주택 이상 보유자의 최고세율도 1% 포인트 낮췄다. 금융투자소득세도 2년간 추가로 유예했다.

경제위기와 난방비 폭등 등 연일 서민들의 삶이 위협받고 있다. 서민을 위한 민생 예산을 확대하는 등 각종 대책이 필요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강 건너 불구경’하듯 손을 놓고 노동시간 연장을 시도하며 노동자들의 목숨마저 위협하고 있다. 시급하게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는다면 서민들의 삶은 더욱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