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날리면’ 논란에 이어, 이번엔 주어가 문제인가

윤석열 대통령이 방미에 앞서 가진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또 다시 충격적인 역사관을 드러냈다.

윤 대통령은 24일 보도된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일본에) ‘절대로 안 된다',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정부가 추진한 강제동원 문제 해법의 맥락을 설명하는 과정에서다. 윤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 불안 문제가 너무 긴급한 사안이기에 일본 정부와의 협력을 미룰 수 없었다면서 이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절대 납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일본 정부의 입장과 완전히 일치한다. 일본 정부는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드러난 '위안부' 문제나 최근 불거진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개인 청구권 문제에 대해서 '그것은 이미 지나간 일'이라는 태도를 고집해왔다. 나아가 이런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는 황당한 주장도 펼쳐왔다. 심지어 윤 대통령이 사용한 '무릎을 꿇는다'는 표현조차 일본이 즐겨 사용해 온 것이다.

논란이 일어나자 대통령실과 여당은 갑자기 '주어' 문제를 들고 나왔다. 워싱턴포스트의 기사에는 윤 대통령이 "나는 그런 견해를 받아들일 수 없다(I can’t accept the notion)"고 말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받아들일 수 없다"의 주체가 윤 대통령이 아니라 '일본'이라는 것이다. 외신이 "생략된 주어를 잘못 해석한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첫번째 방미에서 크게 논란이 된 '날리면' 혹은 '바이든'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주어가 무엇이건 윤 대통령의 역사 인식은 충분히 확인된다. 일본의 침탈과 식민지배를 더 이상 문제삼지 않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100년 전의 일"이 아니다. 불과 며칠 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봉납하자, 윤석열 정부의 외교부는 "깊은 실망과 유감을 표한다"며 "과거사에 대한 겸허한 성찰과 진정한 반성을 행동으로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외교부가 대통령의 뜻을 거스른 것인가?

윤 대통령의 생각과 달리 지금 한일간의 현안이 되어 있는 '위안부' 문제나 강제동원 피해자의 청구권 등은 보편적 인권의 문제이며, 평화와 안보의 기초에 속하는 일이다. 윤 대통령이 걸핏하면 입에 올리는 '우리와 일본이 공유하는 가치'에 인권과 평화는 제외되는 것인지 묻고 싶다. 윤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에서 자신의 '결단'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는 임기 5년의 대통령이 국민의 뜻을 거슬러 결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