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가 박정훈 대령의 복직을 요청하는 온라인 탄원서를 오는 14일 오후 6시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박 대령은 지난달 21일 수원지방법원에 수사단장 보직해임무효소송을 제기하고 집행정지를 신청했다. 이 집행정지를 인용해 달라는 시민들의 탄원서를 모으자는 게 센터의 입장이다.
센터는 “집행정지 신청을 받은 재판부는 9월 15일까지 모든 자료를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다”며 “박 대령의 해병대 수사단장 복직을 위한 집행정지신청 인용 촉구 탄원에 동참해달라”고 했다.
센터는 앞서 지난 1일 박 대령의 구속영장이 기각되는데 단 하루 동안 1만 7천여명의 탄원서가 모여진 것도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센터는 “구속 반대 탄원서는 '대통령의 격노'와 외압 의혹이 언급되자마자 막무가내로 박 대령을 구속시켜 입을 막으려던 국방부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며 “이제 박 대령을 해병대 수사단장으로 복직시켜야 한다”고 전했다.
센터는 탄원 동참 호소문에서 지난 9일 박 대령이 집행정지 심문 기일에 출석하며 “하루빨리 복귀해 채 상병 사망 원인을 보강조사하고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말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집행정지가 받아들여지면 박 대령은 즉시 수사단장으로 복직하게 된다”며 “외압으로 망가진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된다”고 했다.
한편 센터는 이날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조사에 부당하게 개입한 책임을 물어 이종섭 장관 탄핵소추안을 즉각 발의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센터는 “다음 주 초 윤석열 대통령이 이 장관을 신원식 의원으로 교체하는 것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며 “장관 경질은 외압 의혹을 덮으려는 증거인멸용 꼬리 자르기”라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 및 대통령실 수사 개입에 관계된 이들을 모두 경질해 이들이 국회 상임위원회, 국정감사, 나아가 향후 진행되어야 할 국정조사 등에 출석해 사건과 관련된 질의에 답변하는 것을 원천 차단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