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칼 테러’ 발언을 한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사퇴하고 호주대사로 부임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곧 귀국한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민심에 반응한 것”이라고 자화자찬했다. 없던 위기를 초래해 뒤늦게 땜질을 하고는 위기해결사라 자랑하는 셈이다.
20일 일찍 황상무 수석의 사의를 윤 대통령이 수용했다는 대통령실의 공지가 있었다. 이어 이종섭 전 장관이 조만간 자진 귀국할 것이라는 대통령실 관계자발 보도도 이어졌다. 이날 한동훈 위원장은 선대위 회의에서 황 수석 사퇴와 이 전 장관 귀국, 일부 막말 후보들의 공천 취소 등을 거론하며 “20여일 남은 총선을 앞두고 절실하게 민심에 반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회의에서 여러 차례 ‘민심’과 ‘반응’을 언급했다.
한 위원장의 민심에 반응할 것이라는 말은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적극 수용하는 겸손한 태도를 지칭하는 듯하다. 그러나 최근 몇 가지 사태를 보면 정부여당의 행태와는 거리가 멀다. 막말로 인해 공천이 취소된 도태우, 장예찬 후보의 경우 끝까지 옹호하다 여론이 비등해지자 뒤늦게 조치했다. 성일종, 조수연 후보 등은 아예 문제를 덮었다. 황 수석의 경우도 발언이 알려진 뒤에도 대통령실에서 넉 줄 사과문을 내고는 “언론사 관계자를 상대로 어떤 강압 내지 압력도 행사해 본 적이 없고, 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버텼다. 한 위원장은 발언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냈지만 ‘기민하게’ 행동하지 않았다. 이 전 장관이 대사로 임명되고, 출국하고, 여론이 악화하도록 한 위원장은 별다른 반응을 하지 않았다. 대통령실도, 국민의힘도 20여 일 앞으로 다가온 선거의 표심이 흔들리고 지지율이 추락하자 깜짝 놀랐을 뿐이다.
한 위원장의 발언은 여러모로 윤 대통령의 “국민은 늘 옳다”는 발언을 떠올리게 한다.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 짜고 치는 사면과 출마를 밀어붙이다 참패한 뒤 윤 대통령은 반성과 사과 대신 유체이탈 화법을 선보였다. 말만 남았을 뿐 그 뒤 윤 대통령이 국민 여론을 받아들여 국정을 정상화한 것은 한 가지도 없다. 가장 최근에는 물가 폭등으로 여론이 분분하자 ‘대파 한 단 875원’이라는 사실상 눈속임 쇼를 벌여 “복장을 뒤집는다”는 반응을 샀을 뿐이다.
야당과 시민사회에서 ‘이채양명주’라 명명한 것이 있다. 이태원 참사, 해병대 채 상병 사망과 외압, 양평 고속도로,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와 주가 조작 사건을 일컫는다. 모두 의혹을 밝히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민심이 다수이고 대세다. 국민이 옳다는 윤 대통령과 민심에 반응한다는 한 위원장이 ‘이채양명주’ 해결에 함께 나서길 주문한다. 아마 그러면 두 사람이 겸손한 태도로 민심을 경청하고 있음을 국민이 저절로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