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 평생을 바쳐온 조성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전 상임의장이 향년 7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1950년 3월 경북 상주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고향을 떠나 서울로 상경해 경복중학교와대신고등학교를 나와 1968년 3월 고려대 행정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해군을 갔다 와 복학해 교내 서클인 청년문제연구소를 조직해 회장을 맡았다.
그는 1974년 고려대 비상총학생회장을 맡았고, 1975년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징역 7년, 자격정지 7년을 선고받고 복역한 것을 시작으로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 과정에서 5번이나 투옥되기도 했다.
1978년 형집행 정지로 출소한 뒤 민주청년협의회 의장을 맡아 활동하던 그는 1979년 11월 ‘명동YWCA 위장결혼 사건’을 주도해 계엄령 위반으로 수배됐다. 1980년 김대중내란음모사건 혐의로 투옥됐고, 1983년 ‘민주화운동청년협의회’ 재건 작업에 나서, 그 해 9월30일 마침내 ‘민청련’을 결성했다. 1983년엔 중앙정보부에 의해 거의 반강제로 일본으로 추방됐다. 그는 과거 언론 인터뷰에서 당시 중앙정보부가 감옥 또는 외국행 두 가지를 두고 선택을 강요했다고 고백한 바 있다.
민주화운동이 한창이던 1987년 귀국한 그는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 더욱 매진했다. 1988년 평화연구소를 설립해 활동한 혐의로 투옥돼 1년간 감옥에 있었다. 1990년에도 베를린 남북 해외실무회담 남측 대표를 맡았다가 징역 1년 6월이 선고됐다. 1994년 범민족대회를 주도한 혐의로 수배됐고 1996년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조성우(왼쪽)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6.15 남측위원회) 상임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6.15 남측위 사무실에서 열린 ‘6.15 민족공동위원회 실무협의 결과 브리핑 및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19.05.27 ⓒ김철수 기자
그는 1998년 김대중 정부에 보수와 진보를 망라하는 통일운동 단체인 민족화해범국민협의회(민화협) 결성을 제안했다. 이후 민화협 집행위원장과 상임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이후 남북 민간교류협력에도 힘을 쏟았다. 북녘 어린이들을 위해 영양빵, 콩우유, 항생제 등을 지원하는 활동을 해온 겨례하나 이사장을 2015년부터 맡아 활동했고, 2021년 민간통일운동과 관련한 노력을 인정받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상했다.
그는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공동의장, 주권자전국회의 상임대표, 전국비상시국회의 상임공동대표 등 최근까지도 각종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해왔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에 마련됐고, 발인 22일, 장지는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