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이 주최한 14차 범시민대행진에 참석한 이들이 구호를 외치면 행진하고 있다. ⓒ한국진보연대탄핵집회를 이끌어온 비상행동이 8일 벌어진 윤석열 대통령 석방을 긴급 사태로 규정하고 조기 파면을 위한 총력전에 들어갔다.
노동시민사회단체가 총망라된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9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긴급 투쟁계획을 밝혔다.
비상행동은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에 항고를 포기하고 윤 대통령을 석방한 심우정 검찰총장에 대해 “10년도 더 지난 다른 사안의 헌법재판소 결정을 끌고 왔다”며 “내란공범임을 자인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규탄했다.
이어 “12.3. 내란 이후 시민들은 모든 위기의 순간마다 주권자로서 더 큰 힘으로 광장에 모여 민주주의를 회복해 왔다”면서 “윤석열의 즉각 파면과 내란 세력의 완전한 청산을 위해, 민주주의와 헌법 질서를 지키기 위해 다시 광장에 모여 달라”고 호소했다.
비상행동은 15일까지를 1차 긴급행동주간으로 선포했다. 우선 공동의장단은 8일 오후부터 광화문 인근 서십자각에서 무기한 철야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단식농성은 윤석열 파면까지 계속된다. 농성장에서 매일 저녁 시민집회도 열 예정이다.
또한 윤석열 석방을 주도한 심우정 검찰총장을 직권남용 혐의로 경찰 국가수사본부에 고발하기로 하고, 9일 오후 2시 국수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는다.
10일에는 비상행동과 정당 간의 연석회의를 갖고 내란세력 청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11일에는 서울 향린교회에서 비상행동의 전체 대표자들이 모이는 총회가 열리고, 시국선언도 있을 예정이다.
법원, 검찰청, 정부청사 등에서 1인 시위와 함께 윤석열 조기 파면을 촉구하는 각계의 릴레이 시국선언도 이어진다.
주말인 15일에는 광화문에서 15차 범시민대행진이 열린다. 이날 전체 조합원 총집중 방침을 내린 민주노총은 범시민대행진에 앞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해 힘을 싣는다.